동래 정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래 정씨는 안일호장을 지낸 정회문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예부시 급제 후 대부경을 지낸 정목과 예부상서를 역임한 정항을 배출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98명과 17명의 상신을 배출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정광필, 정지연, 정태화, 정원용 등이 있다. 동래 정씨는 호장공파와 교서랑공파, 첨사공파 등으로 분파되었으며, 전국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27세부터 39세까지 대동항렬자를 사용하며, 정인보, 정동영, 정진석 등의 인물이 있다. 2015년 인구 조사에서 474,506명으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동래 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동래 정씨 |
한자 표기 | 東萊鄭氏 |
나라 | 한국 |
관향 | 부산광역시 동래구 |
시조 | 정회문(鄭繪文) |
중시조 | 정지원(鄭之遠) |
인물 | 정항 정서 정양생 정창손 정난종 정대년 정언지 정언신 정지연 정여립 정유길 정기원 정평구 정영방 정태화 정치화 정지화 정재숭 정홍순 정상순 정원용 정수동 정기세 정범조 정인보 정인승 정석모 정근모 정동영 정혁준 |
집성촌 | 전라북도 김제시 교월동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경상남도 통영시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
년도 | 2015 |
인구 | 474,506명 |
비고 | 동래정씨 대종중 |
![]() |
2. 역사
동래 정씨의 시조 정회문(鄭繪文)은 안일호장(安逸戶長)을 지냈다.
기세조 정지원(鄭之遠)의 손자 정목(鄭穆)은 1072년(고려 문종 26년) 예부시(禮部試)에 급제하여 대부경(大府卿)에 이르렀다.[1] 정목(鄭穆)의 넷째 아들 정항(鄭沆)도 1102년(숙종 7년) 과거에 급제하여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역임하였다.[2]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98명, 상신(相臣) 17명을 배출하며 명문가로 자리잡았다.
2. 1. 주요 인물 (조선시대)
- 정광필(鄭光弼): 중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1]
- 정지연(鄭芝衍): 선조 때 우의정을 지냈다.[1]
- 정태화(鄭太和): 효종·현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1]
- 정재숭(鄭載嵩): 숙종 때 우의정을 지냈다.[1]
- 정홍순(鄭弘淳): 정조 때 우의정을 지냈다.[1]
- 정원용(鄭元容): 헌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1]
3. 분파
동래 정씨는 3세 정목(鄭穆)의 동생 정선조(鄭先祚)의 후손인 호장공파와 정목의 후손들로 크게 나뉜다. 정목의 후손들은 다시 셋째 아들 정택(鄭澤)의 손자 대에서 정보(鄭輔)의 교서랑공파(校書郞公派)와 정필(鄭弼)의 첨사공파(詹事公派)로 나뉜다.[1]
- 교서랑공파(校書郞公派): 정보(鄭輔)를 파조로 한다.
- 양도공파(良度公派): 양생(良生)을 파조로 한다.
- 전서공파(典書公派): 규(規)를 파조로 한다.
- 정랑공파(正郞公派): 길흥(吉興)을 파조로 한다.
- 생원공파(生員公派): 길상(吉祥)을 파조로 한다.
- 현감공파(縣監公派): 길명(吉明)을 파조로 한다.
- 설학재공파(雪壑齋公派): 구(矩)를 파조로 한다.
- 현령공파(縣令公派): 효경(孝卿)을 파조로 한다.
- 직장공파(直長公派): 인호(仁豪)를 파조로 한다.
- 승지공파(承旨公派): 인준(仁俊)을 파조로 한다.
- 진사공파(進士公派): 인영(仁英)을 파조로 한다.
- 동평군파(東平君派): 선경(善卿)을 파조로 한다.
- 양평공파(襄平公派): 종(種)을 파조로 한다.
- 봉천군파(蓬川君派): 인운(仁耘)을 파조로 한다.
- 군수공파(郡守公派): 의운(義耘)을 파조로 한다.
- 호군공파(護軍公派): 예운(禮耘)을 파조로 한다.
- 사직공파(司直公派): 지운(智耘)을 파조로 한다.
- 부사직공파(副司直公派): 신운(信耘)을 파조로 한다.
- 무과공파(武科公派): 상운(相耘)을 파조로 한다.
- 기우자공파(騎牛子公派): 비(秠)를 파조로 한다.
- 주부공파(主簿公派): 희년(熙年)을 파조로 한다.
- 사암공파(思菴公派): 대년(大年)을 파조로 한다.
- 부윤공파(府尹公派): 부(符)를 파조로 한다.
- 문경공파(文景公派): 흠지(欽之)를 파조로 한다.
- 정절공파(貞節公派): 갑손(甲孫)을 파조로 한다.
- 경력공파(經歷公派): 인손(麟孫)을 파조로 한다.
- 부윤공파(府尹公派): 흥손(興孫)을 파조로 한다.
- 충정공파(忠貞公派): 창손(昌孫)을 파조로 한다.
- 감찰공파(監察公派): 희손(喜孫)을 파조로 한다.
- 목사공파(牧使公派): 육손(陸孫)을 파조로 한다.
- 참의공파(參議公派): 절(節)을 파조로 한다.
- 생원공파(生員公派): 자약(子若)을 파조로 한다.
- 현감공파(縣監公派): 자순(子順)을 파조로 한다.
- 안생파(安生派)
- 평리공파(評理公派): 리(釐)를 파조로 한다.
- 회은공파(淮隱公派): 조(조)를 파조로 한다.
- 학생공파(學生公派): 굉(宏)을 파조로 한다.
- 장령공파(掌令公派): 임생(林生)을 파조로 한다.
- 참판공파(參判公派): 개보(介保)를 파조로 한다.
- 첨사공파(詹事公派): 정필(鄭弼)을 파조로 한다.
- 학생공파(學生公派): 태(泰)를 파조로 한다.
- 호군공파(護軍公派): 회종(會宗)을 파조로 한다.
- 학생공파(學生公派): 위(謂)를 파조로 한다.
- 동지공파(同知公派): 진(軫)을 파조로 한다.
- 검교태자첨사공파(검교태자첨사公派): 숭(崇)을 파조로 한다.
- 수찬공파(修撰公派): 옹(雍)을 파조로 한다.
- 관북감사공파(關北監司公派): 철(哲)을 파조로 한다.
- 참봉공파(參奉公派): 언준(彦寯)을 파조로 한다.
- 서계공파(西溪公派): 언굉(彦宏)을 파조로 한다.
- 매오공파(梅塢公派): 영후(榮後)를 파조로 한다.
- 낙빈공파(洛濱公派): 지(沚)를 파조로 한다.
- 석문공파(石門公派): 정영방(榮邦)을 파조로 한다.
-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사(賜)를 파조로 한다.
- 집의공파(執儀公派): 난손(蘭孫)을 파조로 한다.
- 소평공파(소평公派): 광세(光世)를 파조로 한다.
- 좌랑공파(左郞公派): 광문(光門)을 파조로 한다.
- 참의공파(參議公派): 광국(光國)을 파조로 한다.
- 부정공파(副正公派): 광연(光延)을 파조로 한다.
- 군수공파(郡守公派): 난수(蘭秀)를 파조로 한다.
- 삼가공파(三嘉公派): 광린(光隣)을 파조로 한다.
- 고령공파(高靈公派): 광익(光翼)을 파조로 한다.
- 정난종(蘭宗)의 동래부원군파(東萊府原君派)
- 창원공파(昌原公派): 광보(光輔)를 파조로 한다.
- 정광필(光弼)의 문익공파(文翼公派)
- 안산공파(安山公派): 광좌(光佐)를 파조로 한다.
- 첨정공파(僉正公派): 난원(蘭元)을 파조로 한다.
- 부사공파(府使公派): 난무(蘭茂)를 파조로 한다.
- 학생공파(學生公派): 유(游)를 파조로 한다.
- 참봉공파(參奉公派): 급(伋)을 파조로 한다.
-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인(絪)을 파조로 한다.
- 이판공파(吏判公派): 섬(暹)을 파조로 한다.
- 녹사공파(錄事公派): 승(昇)을 파조로 한다.
- 난암공파(懶庵公派): 언신(彦信)을 파조로 한다.
4. 집성촌
동래 정씨는 전국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며 살아왔다. 주요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상세 주소 |
---|---|
전라북도 | 익산시 남중동 |
경상남도 | 통영시 범골마을, 거창군 남하면 |
경상북도 | 예천군 풍양면 우망리, 군위군 효령면 금매리, 영양군 입암면 연당리, 경산시 정평동,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
대구광역시 |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 박곡리, 달서구 이곡동 |
충청북도 | 청원군 남일면 가산리, 충주시 호암동 |
충청남도 | 금산군 남이면 |
서울특별시 | 중랑구 망우1동 양원마을 |
전라남도 | 영광군 불갑면 |
제주특별자치도 | 북제주군 애월면 고성리 |
강원도 | 이천군 판교면 |
5. 항렬자
동래 정씨는 대동항렬(大同行列)을 사용하여 세대(世代)를 구분한다. 27세부터 39세까지의 항렬자가 아래와 같이 존재한다.[1]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
기(基) | 규(圭)·조(朝) | 인(寅)·진(鎭) | 모(謨)·운(雲) | 진(鎭)·수(秀) | 영(泳)·하(夏) | 상(相)·용(用)·우(遇)·태(太) | 희(熙)·구(九)·봉(鳳)·수(守) | 규(圭)·병(炳)·회(會)·석(錫) | 현(鉉)·형(衡)·가(可)·욱(旭) | 한(漢)·성(成)·무(茂) | 범(範)·기(紀) | 강(康)·용(庸) |
6. 인물
동래 정씨는 역사적으로 많은 인물을 배출해 왔다.
6. 1. 주요 인물 (현대)
- 정동영 (鄭東泳, 1953년 ~ ) : 정치인
- 정진석 (鄭鎭奭, 1931년 ~ 2021년) : 성직자
- 정진석 (鄭鎭碩, 1960년 ~ ) : 정치인
- 정상명 (鄭相明, 1950년 ~ ) : 법조인
- 정규재 (鄭奎載, 1957년 ~ ) : 평론가
- 정현숙 (鄭賢淑, 1959년 ~ ) : 가수
- 정찬우 (鄭燦宇, 1968년 ~ ) : 희극인
- 정용준 (鄭鏞俊, 1976년 ~ ) : 배우
- 정수영 (1982년 ~ ) : 배우
- 정이세 (鄭二世, 1982년 ~ ) : 축구 선수
- 정대세 (鄭大世, 1984년 ~ ) : 축구 선수
- 정기석 (鄭基石, 1984년 ~ ) : 가수
- 정용화 (鄭容和, 1989년 ~ ) : 가수
- 정진운 (鄭珍雲, 1991년 ~ ) : 가수
- 정은지 (鄭恩地, 1993년 ~ ) : 가수
7. 인구
연도 | 가구 수 | 인구 수 |
---|---|---|
1985년 | 98,423가구 | 414,785명 |
2000년 | 137,524가구 | 442,363명 |
2015년 | 474,506명 |
동래 정씨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정목
[2]
웹사이트
『고려사』 권97, 열전10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